카테고리 없음
은행 적금 넣으면 손해! 정부가 돈 복사해주는 '청년도약계좌', 5년 5천만원 플랜 총정리
southouse
2025. 7. 14. 22:07
728x90
#청년도약계좌 #정책금융 #5천만원만들기 #재테크 #비과세
안녕하세요! 오늘은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한 끝판왕, **'청년도약계좌'**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5년이라는 시간 동안 정부 지원과 비과세 혜택을 받아 최대 5,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, 지금부터 집중해주세요!
✅ 어떤 혜택인가요?
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최대 70만 원을 자유롭게 납입하면,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'정부기여금'을 추가로 적립해주고, 만기 시 발생하는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물리지 않는(비과세)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
✅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 (자격 요건)
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나이: 만 19세 ~ 만 34세 (병역 이행 기간 최대 6년 인정)
- 개인소득: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 7,500만 원 이하
- 가구소득: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
- 2024년 3월부터 180%에서 250%로 기준이 완화되어 부모님과 함께 사는 청년도 가입하기 훨씬 수월해졌습니다
- 금융소득: 가입일 직전 3년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니었던 자
✅ 얼마나, 어떻게 지원받나요? (혜택 내용)
- 정부기여금: 개인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기여금을 지원받습니다. 소득 2,400만 원 이하 청년이 월 4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월 2만 4천 원을 추가로 적립해주는 식입니다.
- 비과세 혜택: 만기 시 발생하는 이자소득에 대해 전액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
- 만기 수령액: 위 혜택들을 모두 합쳐 5년간 월 70만 원을 꾸준히 납입하면 최대 5,000만 원 안팎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- 추가 혜택:
-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지해도 비과세 혜택 유지
- 성실 납입 시 신용점수 가산점(5~10점) 부여
- 만기 후 주택 구입 정책자금 대출 시 0.1%p 금리 우대
✅ 어떻게 신청하나요? (신청 방법)
- 신청 기간: 매월 초 가입 신청 기간이 공지됩니다. (예: 4월 신청 기간은 3월 18일~4월 5일)
- 신청 방법: KB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 등 11개 시중은행 앱(App)을 통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✅ 이것만은 꼭! (주의사항 및 꿀팁)
- 특별중도해지: '생애최초 주택구입', 퇴직, 사업장 폐업, 혼인, 출산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만기 전이라도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고 해지할 수 있습니다.
- 청년희망적금 연계: 기존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그 만기 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에 한 번에 납입(일시납입)하여 연계할 수 있습니다.
- 유지 심사: 가입 후 1년마다 개인소득을 재확인하여 정부기여금 지급 여부와 규모가 조정될 수 있습니다.
300x250